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민간 앱에 공공기관 누리집·앱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공공서비스 제공

     

    민간 앱에 공공기관 누리집·앱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공공서비스 제공민간 앱에 공공기관 누리집·앱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공공서비스 제공민간 앱에 공공기관 누리집·앱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공공서비스 제공
    국세 미수령 환급금, 네이버페이 등 '민간 앱'에서도 조회 가능

     

    행정안전부는 9일 공공기관의 웹사이트나 앱에서만 제공되던 공공 서비스를 민간 앱을 통해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세청 미납 국세 환급금 조회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업보험료 과다지급 신청 ▲행정안전부, 여성가족부,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자원봉사 신청 및 이력 조회 서비스도 은행 앱, 네이버페이, 삼성월렛 등 민간 앱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번 서비스 제공은 KTX 및 SRT 열차 티켓 예매, 자동차 점검 예약, 고향사랑 기부 등 26가지 공공 서비스와 함께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금까지 "국세 환급 조회 서비스"를 통해 종합소득세 및 부가가치세 신고에서 환급이 발생했지만, 계좌 오류와 미등록으로 인해 방문하지 못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향후 관련 서비스가 개방됨에 따라 대중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국세 환급금을 보다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한편, '고용 및 산업재해보험료 초과지급 환급 신청 서비스'는 진입 및 퇴출, 자격 및 보수 변경, 착오 지급 등으로 인해 초과지급된 고용 및 산업재해보험료를 환급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그 결과, 자주 사용되는 개인 앱이 환불 여부를 더 쉽게 확인하고 쉽게 환불을 찾을 수 있게 되어 대중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자원봉사 신청 및 이력 조회 서비스"의 경우, "1365 자원봉사 포털", "e 청소년 (DOVOL)", "사회복지 자원봉사 (VMS)" 등 자원봉사 활동 유형에 따라 분산되어 표준화되어 통합적으로 제공되고 있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은행 앱, 네이버 페이, 삼성 월렛 등 다양한 개인 앱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각 개인 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맞춤형 이벤트를 진행할 것입니다.

     

    국세 미수령 환급금, 네이버페이 등 '민간 앱'에서도 조회 가능
    개통 기업별 서비스 특징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공공기관만 제공하던 행정서비스를 민간 앱과 웹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고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민간 부문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한국정보통신진흥원과 함께 공공 편의성과 민간 기업 수요를 고려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민간 부문에 대한 공공 서비스 개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붙임] 신규 개방 공공서비스 이용가능 민간앱 및 이용예시

    문의(총괄) :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혁신과(044-205-2733)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