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금융위, '제10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 개최…1000억 원 '원전성장펀드'도 신설
반도체 팹리스 기업과 소규모 관리자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추가로 1,200억 원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또한 국내 원자력 발전소 생태계 발전을 위해 1천억 원 규모의 '원전 산업 성장 기금'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금융위원회는 26일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정부 관련 부처 및 정책금융기관과 함께 '제10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협의회는 정책 금융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2022년 말 관련 부처 및 정책 금융 기관과 공동으로 출범했습니다.
위원회는 올해 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 중 하나인 정책금융기관의 자금 조기 집행을 검토하고, 산업부 등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반도체 관리자, 원자력 발전소 등 개별 산업에 대한 금융투자 자금의 세부 운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올해 선제적인 경제 대응을 위한 과제로 정책 금융의 조기 집행을 점검했습니다.
KDB, KDB, 한국신용보증기금, 기보 등 4개 기관과 한국수출입은행 등 5개 정책금융기관이 21일까지 총 75조 8천억 원을 공급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8조 7천억 원(+13%)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17일부터 일주일 동안만 13조 원 이상을 공급하는 등 재무제표가 점차 확정되어 자금 집행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다섯 개의 정책 금융 기관은 다음 달 말까지 산업 현장에 전년 대비 13조 원 증가한 122조 원 이상을 공급할 계획이며, 상반기 내에 연간 공급 계획의 60%를 달성할 것입니다.
그런 다음 위원회는 반도체 생태계 기금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반도체 팹리스 기업과 소규모 운용사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반도체 생태계 펀드는 제3차 정책금융지원협의회에서 발표되었으며, 3년 동안 3천억 원 규모로 조성되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를 선례로 삼아, 이 펀드는 반도체 생태계 공동 지원 계획에 따라 작년 6월 펀드로 개발되었으며, 규모는 3천억 원에서 1조 1천억 원으로 확대되어 8천억 원이 증가할 예정입니다.
이번에는 작년 말 국회에서 반도체 생태계 기금 예산이 확정됨에 따라 올해 1,200억 원을 모금할 예정입니다.
특정 부문에 투자되는 섹터 펀드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는 기업은행 100억 원, 성장사다리 2 펀드 100억 원, 산업은행 50억 원 등 공공 부문에 250억 원(300억 원→55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할 예정입니다.
동시에 원자력 산업 성장 기금의 관리 계획도 논의되었습니다.
올해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SMR(소형 모듈형 원자로)과 같은 원자력 발전소 생태계 발전을 위해 1,000억 원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산업 성장 기금을 설립하기 위해 협력할 것입니다.
금융 350억 원, 산업은행 50억 원, 한국수력원자력 300억 원 등 민간 자금 300억 원 이상을 유치하고, 원전 생태계 발전에 1천억 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그동안 정책금융지원협의회는 반도체 생태계펀드 선제 출범, 인공지능 분야 프로그램 마련, 정책자금 효과성 분석 등 정책금융 현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책금융의 질적 향상에 기여해 왔다"며 "각 부처가 제시한 의견을 충실히 반영해 정책금융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문의: <총괄>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 산업금융과(02-2100-2866)
[출처] 한국 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익직불금 교육 이수는 필수입니다 (0) | 2025.03.30 |
---|---|
산불 국민행동요령 Q&A…"한순간 부주의가 참사로 번지지 않게" (0) | 2025.03.29 |
'DMZ 평화의 길' 10개 테마노선, 4월 18일 전면 개방 (2) | 2025.03.29 |
문체부, 일본식 한자어·외국어 정책용어 쉬운 우리말로 바꾼다 (0) | 2025.03.28 |
27~30일 '내 나라 여행박람회' 개막…전통주 만들기 특별관 운영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