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혼부부 매매 대출은 신혼부부가 주택을 구입할 때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아래에서 주요 대출 상품과 그 조건, 한도, 금리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신혼부부 전용 구입자금 대출 (디딤돌 대출) 대상: 결혼 7년 이내의 신혼부부로, 부부 합산 연 소득이 8,500만 원 이하이며, 대출조회 순 자산가액이 4.69억 원 이하인 분들대출 한도: 최대 4억 원 이내로, 대출 확인 주택 매매가격 이내에서 LTV(주택담보대출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를 적용하여 결정됩니다.LTV: 최대 80%DTI: 최대 60%대상 주택: 전용면적 85㎡ 이하(수도권 외 읍·면 지역은 100㎡ 이하)이며, 대출종류 주택 평가액이 6억 원 이하인 주택대출 금리: 연 2.35%~3.65%로, 소..

기초생활수급자는 정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따라 생계, 의료, 주거, 교육 등 다양한 지원을 받는 저소득층을 의미합니다. 수급자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소득인정액과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소득인정액 기준 소득인정액은 가구의 실제 소득과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것입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각 급여별 수급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 기준중위소득 100%생계급여(32%)의료급여(40%)주거급여(48%)교육급여(50%)1인 가구2,392,013원765,444원956,805원1,148,166원1,196,007원2인 가구3,932,658원1,258,450원1,573,063원1,887,675원1,966,329원3인 가구5,025,353원1,608,113원..

'일상 돌봄·긴급 돌봄'도 네이버지도로 검색·예약 가능 2월 20일부터 네이버 지도를 통해 이용가능, 이용자 위치 기반 검색, 예약 기능 제공 보건복지부(조규홍 장관)는 2월 20일(목)부터 네이버 지도를 통해 일상 돌봄 및 응급 돌봄 서비스도 검색 및 조회할 수 있으며, 초기 상담 예약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 24년 하반기부터 네이버 지도는 10개의 사회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해 사용자 위치 기반 검색 및 예약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 ▲일상 돌봄 ▲응급 돌봄 서비스가 추가되었습니다. * (24.8~) ▲지역사회 서비스 투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방문 가사 및 간호 지원, ▲장애인 활동 지원, ▲장애인 활동 지원, ▲언어발달 지원, ▲발달장애인 주간 활동, ..
매일 오전 10시 선착순…2만~7만 원 예약시 2만 원·7만 원 이상은 3만 원 할인 문화체육관광부는 3월 여행의 달을 맞아 28일부터 매일 오전 10시까지 42개의 온라인 채널(OTA)을 통해 30만 장의 숙박 할인 쿠폰을 배포할 예정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지역 관광과 내수 활성화를 위해 올해 첫 번째 '코리아 숙박 세일 페스타'를 추진한다고 20일 발표했습니다. 2.28~3.30 매일오전 10시 입실기간:2.28~4.6 서울.경기.인천 제외 7만원이상 국내숙박상품 3만원 할인 7만원미만 국내숙박상품 2만원 할인 올해 체류 인권은 해외여행 수요를 국내로 유입하고 여행 시기를 분산할 수 있도록 봄(3월), 여름(6월), 가을(10월) 세 차례에 걸쳐 100만 부를 배포..

17일부터 신청 접수…'냉장고 문 달기' 사업에도 40억 원 투입 산업통상자원부는 소상공인의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379억 원 규모의 '2025년 소상공인 고효율 기기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소상공인이 에너지 소비 1등급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등 4개 품목을 신규 설치하면 각 품목 한도 내에서 에어컨 160만 원, 냉장고 160만 원, 세탁기 80만 원, 건조기 80만 원 등 구매 비용의 4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을 원하는 사업자는 소상공인 인증서, 사업자등록증, 기기명판 및 에너지 효율 등급 라벨 사진, 기기 설치 사진, 구매 증빙 서류 등 증빙 서류를 지참한 후 소상공인 고효율 기기 지원 사업 홈페이지(https://en-ter.co.kr..

23일부터 '고용 24'에서 신청…18개월 이상 근속 청년에 인센티브 고용노동부는 일자리에 도전하는 청년과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일자리 도약 인센티브" 사업을 23일부터 시작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제조업을 포함한 10개의 빈 일자리 산업에 취업한 청년들이 18개월 이상 근무하더라도 인센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유형 2'가 신설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청년 일자리 도약 인센티브 사업은 "취업난으로 청년"을 고용한 중소기업 소유주들만을 지원해 왔습니다 그러나 2025년부터 제조업, 조선업, 뿌리산업, 보건복지, 해운업, 수산업 등 10개의 빈 일자리 산업에서 18개월 이상 근무하면 인센티브가 제공됩니다. 우선, 제1유형은 4개월 이상 실업 상태, 최종 졸업 후 고용보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