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시속 1200km, 서울~부산역 20분 이내 주파…4가지 세부 기술 개발·검증
정부는 지상에서 비행기보다 더 빨리 달릴 수 있는 "하이퍼튜브" 열차를 개발할 것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차세대 고속 육상 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의 핵심 기술인 자기 부상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시작할 것이라고 9일 발표했습니다.
하이퍼튜브는 자기 부상 기술이 적용된 열차를 진공 상태의 서브 진공(0.001-0.01 기압) 튜브에 띄우고, 열차와 선로 사이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고속으로 움직이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입니다.
하이퍼튜브는 비행기보다 더 빠르고, 더 친환경적이며, 날씨에 덜 영향을 받는 교통수단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KTX(300km/h)는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1시간 52분(무정차 운행 기준) 소요되며, 동일한 거리를 20분 이내에 운행할 수 있어 지역 간 연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이퍼튜브의 하이퍼갭 기술, 고속으로 차량을 구동하는 자기 부상 및 추진 기술, 극한의 서브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구동 통로인 서브진공 튜브 설계 및 시공 기술,
서브진공으로부터 객실 기밀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 및 제작 기술을 구현합니다.
이 연구 개발은 자기 부상 및 추진 기술의 개발에 해당하며, 하이퍼튜브 전용 트랙,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 및 제조의 네 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 및 추진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또한,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해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각 세부 기술 분야의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개발사업 추진 TF"를 운영하여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할 예정입니다.
국토교통부 철도국장 윤진환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도 비행기와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걸음으로서 중요한 프로젝트이며,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역 소멸 위기를 해결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는 불과 20년 전만 해도 고속철도 수입국에서 자체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수출하는 나라로 도약해 우리 기술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세계에 입증했다"며
"하이퍼튜브라는 꿈의 철도 기술의 발전으로 세계 철도 경쟁 시장을 선도하고 전 세계로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문의: 국토교통부 철도국 철도안전정책과(044-201-4605)
[출처] 한국 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차 유류세 환급 대상이 아닌 경우는? (0) | 2025.04.10 |
---|---|
군무원 지역인재 9급 선발시험 첫 시행…올해 200명 모집 (0) | 2025.04.09 |
여름철 풍수해 대비 '홍수 위험 인지' 지능형CCTV 시범 도입 (1) | 2025.04.09 |
'고위험 산모·신생아 치료' 손실 최대 100% 보상…병원 10곳 선정 (1) | 2025.04.08 |
지역필수의사제, 7월부터 강원·경남·전남·제주서 시범 실시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