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미 '팰콘-9'에 탑재·발사… 위성 촬영 주기 단축으로 '북 도발 징후 식별 능력' 향상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북 도발 감시망 더 촘촘해진다
    미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발사대에 기립 중인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체 모습. 2025.4.22. (사진=국방부)

     

    한국군의 정찰 위성 4호가 22일 우주 궤도에 진입한 후 지상국과의 교신에 성공했습니다. 

    정찰 위성 1호부터 3호까지 발사된 후, 위성 클러스터 운영을 통해 한반도를 다시 방문하는 주기가 더욱 단축될 것입니다.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한국의 군사 정찰 위성 4호가 22일 오전 9시 48분경 미국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북 도발 감시망 더 촘촘해진다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직후 모습. 2025.4.22. (사진=국방부)

     

    발사 후 약 15분 후, 군사 정찰 위성 4호는 정상적으로 Falcon-9 발사체에서 분리되어 목표 궤도에 안착했으며, 약 56분 후에는 지상국과의 교신에도 성공하여 위성의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습니다.

    앞으로 군 정찰위성 4호는 국방연구소가 주관하는 위성의 성능을 점검하기 위해 우주 궤도 시험을 실시하고, 군에서 실시하는 운용 시험 평가 후 본격적인 감시 정찰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국방부와 국방부는 "군사정찰위성 4호의 성공적인 발사로 우리 군은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추가로 확보하게 되었으며, 한국형 3축 체계의 근간이 되는 핵심 전력을 강화하여 킬체인 역량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장치 4에는 2, 3호기와 같은 합성 개구 레이더(SAR)가 장착되어 있어 낮, 밤,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든 기상 조건의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군은 지난번 1~3호기의 성공적인 발사와 함께 감시 정찰 위성의 군집 운영을 통해 재방문 주기를 단축하여 북한의 도발 징후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군사 정찰위성 4호는 국가 정부와 국내 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방사청의 프로젝트 관리 하에 개발되었으며, 국내 위성 개발 경험(유산) 축적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4호기의 성공적인 발사에 이어 올해까지 모든 군 정찰위성을 발사할 것이며, 앞으로 현재 개발 중인 초소형 위성을 발사하면 우리 군이 독자적인 우주전력을 구축하고 강력한 방위우주전력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국내 지상 발사장을 건설하고 우리 기술로 개발된 발사체로 위성을 발사하여 우주 운영 능력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입니다, "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문의: 국방부 전력정책국 공통전력과(02-748-5630) 방사청 우주지휘통신사업부 우주감시정찰사업팀(02-2079-5340)
    [출처] 한국 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