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전년 대비 3만 6000명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보조금 24' 누리집서 신청

     

    '평생교육이용권' '평생교육이용권' '평생교육이용권'
    '평생교육이용권' 11만 5000명 지원…연간 35만 원, 24일부터 접수

     

     

    교육부와 광역자치단체는 24일부터 5월 14일까지 저소득 가정과 장애인을 위한 '2025 평생교육권(평생교육 바우처)'의 첫 번째 신청을 받는다고 23일 발표했습니다. 

    올해부터 중앙 정부는 지역의 여건과 특성을 반영하여 각 지역에 맞춘 평생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이를 발급할 권한을 중앙 정부에서 광역 정부의 장으로 재편했습니다. 

    지원 금액도 연간 35만 원(최대 70만 원)이며, 약 11만 5천 명에게 총 362억 원이 지원될 예정입니다. 이는 작년보다 36,000명 증가한 금액입니다.

    또한, 저소득층 성인(19세 이상 및 차상위계층)과 장애인(19세 이상 등록 장애인)을 위해 디지털 관련 평생교육을 받고자 하는 노인(65세 이상)과 디지털 관련 평생교육을 수강하고자 하는 사람(30세 이상)이 새롭게 설립되었습니다. 

    평생교육 이용권은 사회적, 경제적 여건에 따라 평생교육 참여 격차를 완화하고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작년까지 평생교육 이용권은 일반(저소득층 대상)과 장애인 이용권 두 가지 유형을 지원했습니다. 

    그러나 올해부터 노인 권리와 디지털 권리(인공지능, 디지털 경력 점프 패스)가 신설되어 네 가지 유형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먼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남, 전남, 경남을 포함한 13개 광역자치단체가 저소득층 성인 및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5월 24일부터 5월 14일까지 첫 번째 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또한 충청북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제주도 등 4개 광역자치단체와 노인 신청 접수 일정, 디지털 사용권 등은 추가 준비를 거쳐 6월경 별도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한편, 사용권 신청은 "평생교육 이용권" 웹사이트(http://www.lllcard.kr , 일반 이용권)와 "보조금 24" 웹사이트(http://www.gov.kr , 장애인 이용권)에서 할 수 있습니다. 

    선정된 학습자에게는 NH농협카드 '채움' 명의의 평생교육 과정 및 교재에 사용할 수 있는 35만 원의 보조금이 제공됩니다

    사용 권한을 통해 학습자들은 직업 능력 개발 훈련 시설, 평생 교육 시설, 평생 직업 교육 아카데미에서 자격증 취득, 창업, 언어, 인문학, 인공지능(AI), 디지털 분야 등 다양한 과정을 수강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평생교육권을 사용하는 기관으로 등록된 기관 내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으며, 기관은 평생교육권 웹사이트와 각 광역자치단체별 웹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사업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사회 환경과 기술이 급변함에 따라 성인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모두가 평생학습을 통해 더욱 발전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문의 : 교육부 평생교육직업정책관 평생학습지원과(044-203-6396), 평생교육직업정책관 평생직업교육기획과(044-203-6376)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