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6개 지자체에 'AI 전화 기반 위기가구 모니터링' 사업 지원
    관리 필요 대상 군 선제 선정, 안부 확인·응답 분석해 신속 대응

     

    AI 전화 활용해 독거노인·중장년 1인 가구 등 위기가구 살핀다AI 전화 활용해 독거노인·중장년 1인 가구 등 위기가구 살핀다AI 전화 활용해 독거노인·중장년 1인 가구 등 위기가구 살핀다
    AI 전화 활용해 독거노인·중장년 1인 가구 등 위기가구 살핀다

     

    행정안전부는 복지 및 안전 서비스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16개 지방자치단체가 인공지능(AI) 휴대폰을 사용하여 위기 가구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24일 발표했습니다. 

    지원 대상지는 동대문구, 부산 사상구, 대전 대덕구 및 강원도 중구, 충북 원주시, 충주시, 천안시 및 충청남도 금산군, 전북 남원시, 경북 경주시 및 구미시, 산청군, 거제시, 경상남도 창녕군, 제주도, 서귀포시 등 16곳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행정안전부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복지 업무에 상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AI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지방 정부는 초기 상담 후 복지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노인과 중장년 1인 가구의 안전을 주기적으로 점검합니다.  

    수집된 응답을 분석하여 복지 공무원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인공지능은 복지 혜택 안내, 위기 상황 대처 방법 안내, 후원 물품 신청 등 반복적인 업무를 수행하여 복지 공무원들이 단순 반복 업무를 줄이고 현장에 더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특성에 맞는 인공지능 전화기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각 지역의 위기 가구를 면밀히 발견하고 사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구본근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장은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로 복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자체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주민들을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문의: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 스마트안전기획팀(044-205-6413)

    [출처] 한국 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 )

    반응형